요크셔테리어의 역사
요크셔테리어는 19세기 중엽 잉글랜드의 요크셔 지역에서 탄생했다고 알려져 있다. 산업 혁명 이후 요크셔 지방에는 많은 일자리들이 생겨났는데, 이때 스코틀랜드 출신 이주자들이 몰려들었다. 그들이 이주하면서 데려온 여러 테리어들이 지금 우리가 보는 요크셔테리어의 조상이다.
요크셔 지방에는 탄광과 양모와 면직을 가공하는 섬유 공장들이 많았는데, 쥐는 이 두 곳의 골칫덩이였다. 이때 마침 스코틀랜드 출신 이주자들이 데리고 왔던 여러 테리어들이 쥐 사냥을 시작했다. 이후 쥐 사냥에 적합하도록 작은 견종으로 교배하면서 지금의 요크셔테리어가 된 것이다.
요크셔테리어의 조상인 테리어가 어떤 종이라고 확실하게 알 수는 없으나 몇몇 추정이 있다. 스카이테리어, 페이즐리테리어, 에어데일테리어, 말티즈 등이 요크셔와 가까운 혈통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는데, 이 중 페이즐리테리어가 가장 가까운 조상으로 보이지만, 현재 페이즐리테리어는 멸종된 상태이다.
최초의 요크셔테리어 벤
남겨진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요크셔테리어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페이즐리테리어는 3마리이다. 1850년대에 태어난 수컷 요크셔 올드크랩과 암컷 키티, 그리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암컷이 한 마리 더 있었다. 이들부터 현재의 요크셔테리어와 흡사한 외모를 갖기 시작했다. 이들로부터 몇 세대가 흐른 후 현재의 요크셔테리어가 탄생하였다고 한다.
1세대라고 부를 수 있는 요크셔테리어는 허더즈필드 벤 이라는 수컷 요크셔이다. 벤은 현재 요크셔테리어의 기준이 되는 품종을 완성해, ‘요크셔테리어의 아버지’라고 불렸다. 벤은 키티의 중증 손녀였는데, 소유주는 벤의 외모를 보고 반해 여러 가지 도그쇼에 출전시켰다. 벤은 여러 도그쇼에서 입상했고, 요크셔테리어라는 품종이 알려지는 데 큰 몫을 했다.
요크셔테리어의 특징
요크셔테리어는 2000년대 중반까지 국민 견종으로 취급될 만큼 인기가 높았으나, 2010년대 중반이 지나면 인기 순위에서 밀려났다. 현재는 반려견으로 찾아보기 힘든 견종이다.
요크셔테리어는 아무리 커도 몸무게 3.2kg을 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이보다 큰 경우는 보통 믹스견이거나, 호주산 실키테리어 출신일 확률이 높다. 보통 13~14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는데, 상당히 똑똑한 견종이다.
요크셔테리어의 최대 매력은 털의 모양이다. 유가기때는 등쪽은 짙은 검은색, 배 쪽은 짙은 금빛의 털을 가지고 있다. 이 털들은 개체가 자람에 따라 서서히 색이 바뀌는데, 검은 부분은 짙은 회색이나 연한 회색으로 변화하고, 짙은 금빛 털은 황금빛이 도는 갈색으로 바뀐다.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흰자가 거의 보이지 않는 눈은 아주 동그랗다. ‘표정으로 말하는 개’라는 별명이 있는데, 이는 이 견종이 눈빛으로 원하는 것을 아주 잘 전달할 만큼 표정으로 감정표현을 잘하기 때문이다.
매우 깔끔한 편인데, 요크셔테리어의 경우는 자신의 소변을 밟을까 봐 더러운 패드는 피해 걸어 다니고, 패드가 깨끗하지 않으면 주인에게 치워달라는 요구까지 한다.
요크셔테리어의 성격
순수 요크셔테리어는 매우 까칠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국내 가정에서 키우는 요크셔테리어는 혼혈이 많이 진행되어 순수혈통과 거리가 있기는 하지만, 요크셔테리어는 기본적으로 까칠하고, 질투가 많다. 동시에 깔끔하면서도 사냥개라 활발하고 성격도 있다. 개보다는 고양이의 느낌에 강한 견종이다.
견종 중에서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높고, 애정도가 높은데, 다르게 말하면 주인에 대한 집착이 심하다. 가족 중에서도 자신에게 서열 1순위라 생각하는 사람한테 붙어 있는다.
요크셔테리어를 키우기 좋은 환경
작은 견종이기 때문에 집에서 키우기에 적합하다. 새로운 환경에 어렵지 않게 적응하고, 주인과 함께 다닌다면 어디를 가도 별로 불안해하지 않는다. 몸집이 작아서 데리고 다니기도 좋다.
요크셔테리어가 잘 걸리는 질병
요크셔테리어에게 잘 걸리는 질병은 일반 소형견이 잘 걸리는 질병이다. 슬개골 탈구, 췌장염, 기관 허탈 등이 있다. 이외에도 녹내장, 백내장, 설사, 뇌졸중 등이 있지만, 특별히 유전병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강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든 리트리버의 유전병과 입질 (0) | 2023.11.14 |
---|---|
닥스훈트의 특징과 키울 때 주의점 (0) | 2023.11.14 |
웰시코기 생김새와 웰시코기용 사료 고르기 그리고 키우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 (0) | 2023.11.11 |
사모예드의 외형과 재패니즈 스피츠 (0) | 2023.11.11 |
진돗개의 성격과 위험성 그리고 도시에서 키우기 적합하지 않은 이유 (2)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