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견의 특징
비사견은 진돗개와 같이 스피츠 계열의 견종이다. 외향은 물론이고 성격도 진돗개와 비슷하다. 자기의 영역이 확실하며 고집이 세다. 또, 유대감과 공감 능력이 상당히 떨어지는 견종이다.
여타의 스피츠 그룹의 견종들이 그렇듯 시바견 또한 사람이나 동물들에게 공격적이고 배타적인 성향을 보인다. 순해 보이는 외견과는 다르게 입질이 있고, 자신보다 큰 개에게도 달려든다. 몸집이 작은 개들은 물려 죽을 수도 있다. 물론 개체의 차이는 존재하며, 유아기에 사회화와 예절교육 등을 받는다면 애교를 부리는 시바견으로 키울 수 있다.
야생적 본능을 강하게 가지고 있고, 짖음 또한 심하다. 이런 성향들은 훈련으로 교정하기 어려우며, 시바견은 스피츠 계열의 견종들 중에서도 훈련이 어려운 편이다. 때문에 집 안에서 기르기 어려운 견종이라, 외형만 보고 시바견을 키우고 싶은 사람들은 주의를 해야 한다.
개체에 따라 털의 색깔이 매우 다르다. 3개의 혈통이 섞여서 유전적으로 다양하게 태어나는지라, 털 뿐만 아니라 귀나 꼬리 모양도 다양하다. 덕분에 유전적 질환은 적다. 인기가 많을수록 근친교배를 많이 시켜 유전적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데, 시바견은 유전적 질환이 적은 매우 특이한 케이스에 속한다. 하지만 슬개골 탈구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시바견을 키우기로 한 집에서는 집안에 매트를 구석구석 깔아놓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중 모라 털 빠짐이 심하다. 시바견은 목욕이 필요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털 빠짐이 심한데, 털을 빗겨 놓으면 시바견 한 마리가 더 있는 것처럼 보일 지경이다.
시바견은 기본 표정이 달관한 아가 같은 표정이다. 혀를 빼물거나 웃고 있지 않으면 티베트모래여우 같은 표정을 짓는다.
시바견의 엄살
곰을 쫓아낼 정도로 용맹해 보이지만, 사실 엄살쟁이이다.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하려고 하면 비명을 지르고, 몸부림치는 영상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미용을 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시바견은 미용을 맡기면 비용을 더 부르는 경우도 많다. 청진기를 갖다 대기 전부터 비명을 지르는 시바견도 있다.
시바견의 역사
시바견은 일본의 유적에서 뼈가 발견됬을 만큼 역사가 깊은 개다. 하지만, ‘시바견’으로서 인정받은 기간은 채 100년이 되지 않는다. 2차 세계대전 시기 멸종 될 뻔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시바는 기후현의 미노 시바, 나가노현의 신슈 시바, 시마네현의 신인 시바의 3 혈통이다. 이 중 산인 시바가 한반도에 들어와 있는 시바견에게서 볼 수 있는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한다.
시바견은 일본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예전에는 일본 개 하면 아키타견이 더 유명했으나, 2010년대부터 유행을 타더니, 지금은 일본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견종은 시바견이 되었다.
시바견을 키울 시 주의 사항
모든 개들이 그렇지만, 시바견은 전문 견사나 가정 분양을 받을 것을 추천한다. 어릴 때는 비슷해 보이는 견종들로 사기를 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분양비도 적지 않기 때문에 많이 고민해 보고 분양을 받으시길 바란다.
시바견은 허투루 짖음이 적고, 몸집도 중형견 정도 크기로 집안에서 키우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워낙 활동성이 좋기 때문에 하루에 2시간 이상 산책을 권장한다. 야생성을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실외 배변을 하는 견종이라, 더더욱 산책을 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이 키워야 할 듯하다. 또, 공격성이 있는 견종이라 다른 개들과 만났을 때 통제를 잘 해주어야 한다. 누구 하나 피를 볼 수 있다. 어마어마한 산책량 때문에 파양되는 경우도 흔치 않다고 하니, 귀여운 외모에 넘어가기 자신이 시바견의 운동량을 채워줄 수 있는지 꼭 고려해야 한다.
외모만 보고 애교가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면 이 생각 또한 접어두시길 바란다. 시바견은 독립성이 강한 견종이라, 애교가 없다. 또 고집이 매우 세다.
장과 피부가 약한 편이라 늘 신경 써 주어야 하고, 치매에 거릴 확률도 다른 견종들에 비해 높은 편이라 자주 생선을 먹이는 것이 좋다고 한다.
시바견이 모티브인 캐릭터
이누야샤의 주인공 이누야샤는 시바견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이다.
'강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모예드의 외형과 재패니즈 스피츠 (0) | 2023.11.11 |
---|---|
진돗개의 성격과 위험성 그리고 도시에서 키우기 적합하지 않은 이유 (2) | 2023.11.11 |
포메라니안의 성격과 키울 때 유의해야 할 점들 (0) | 2023.11.10 |
포메라니안의 유전병과 외모, 스피츠와의 차이점 (1) | 2023.11.10 |
패키니즈의 성격과 중국 역사에서의 패키니즈 그리고 키울 때 주의점 (0) | 2023.11.08 |